본문 바로가기
유익 정보

[2025년 버전] 현충일 근무, 휴일 특근수당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by FUNLAP 2025. 6. 5.

국가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는 현충일은 쉬는 날입니다. 하지만 병원, 콜센터, 유통업, 등 일부 업종에서는 현충일에 근무하시는 분들도 많이 있습니다. 이때 휴일수당 또는 특근 수당은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근무 수당 조건과 계산법을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현충일은 유급휴일인가요?

현충일은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따라서 법정공휴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사업장에 따라 의무 휴일로 지정되는 곳이 있습니다. 2021년부터 30인 이상 사업장에서 2022년부터는 5인 이상 사업장에도 '공휴일 유급휴일 적용'이 단계적으로 확대되었습니다. 따라서 5인 이상 사업장이라면 현충일을 유급휴일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 공무원, 공공기관 : 의무 휴일 → 유급휴일 적용
  • 민간기업 : 5인 이상 사업장 중 '근로자의 날 및 공휴일을 유급휴일로 보장하는 단체협약, 취업규칙을 정한 경우 유급휴일 인정

 

특근수당 계산 하는 방법

휴일에 근무를 하면 '휴일근로수당'이 지급됩니다. 휴일 수당 계산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본 시급 : 주 40시간 기준 = 월급 ÷ (주 소정근로시간 x 4.345주(한 달을 '주' 단위로 환산))
  • 휴일근로 수당 : 최소 8시간까지 = 시급 x 근무시간 x 1.5배
  • 연장근로 수당 : 8시간 초과 시 = 시급 x 근무시간 x 2배

 

예를 들어볼까요!

  • 월급 250만 원, 주 40시간 근무(일 8시간), 현충일에 8시간 근무했을 경우
    1. 시급 계산하기
    = 2,500,000원 ÷ (40시간 x 4.345주)
    = 2,500,000원 ÷ 173.8
    = 시급 약 14,384원

    2. 특근수당 계산하기 (8시간 근무)
    = 시급 14,384원 x 8시간 x 1.5배
    = 약 172,608원

    3. 총 급여 (급여 + 휴일 근무수당)
    = 약 250만 원 + 172,608원
    = 약 2,672,608원 

 

 

 

만약 8시간 넘게 근무했을 경우

현충일날 10시간 근무했다고 가정했을 경우

  • 8시간 이내 : 시급 x 8시간 x 1.5배 = 약 172,608원
  • 2시간 초과분 : 시급 x 2시간 x 2배 = 약 57,536원
  • 총수당은 약 230,144원

 

특근수당 받기 위한 조건

휴일 근무, 특근수당은 다음과 같은 조건이 있어야 유급휴일로 인정됩니다.

  1. 취업규칙 혹은 단체협약에서 유급 공휴일로 규정되어 있는지
  2. 근로시간, 수당 내역이 근로계약서 또는 급여명세서에 반영되는지
  3. 5인 미만 사업장은 휴일 근무수당 적용 제외 (근로기준법 적용 법위 아님)

 

현충일에도 일하셨나요? 그에 따른 정당한 보상을 꼭 확인하세요. 요즘은 급여명세서 또는 수당 관련 문의도 노무사 상담이 가능한 무료 어플을 통해 간편하게 가능하니 적극 활용하시면 좋아요. 휴일 수당 지급 여부가 불확실하다면 근로계약서나 취업규칙을 확인하고 가능하다면 노무사 상담을 받아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댓글